[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8:52
본문
Download :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ppt
A의 그림처럼 심부는 항상 약 37˚C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외각조직은 부위에 따라 그리고 환경온도에 따라 온도가 달라진다.
심부온도의 생리적 change(변화)
심장내 혈액의 온도를 반영한다.
임상적으로나 실험적으로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심부온도로서 타 부위보다 높은 값을 보인다.
레포트 > 의학계열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체온이 높을 뿐만 아니라 change(변화)가 많다.
인체는 대부분의 열생산이 일어나는 심부와 극히 소량의 열만이 생산되는 외조직으로 대별된다.
정상인에서도 심부온도는 일정한 값을 보이지 않고 생리적 변동을 한다.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663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5D%20%EC%B2%B4%EC%98%A8%EC%A1%B0%EC%A0%88%EC%9D%98%20%EA%B8%B0%EC%A0%84-6637_01.jpg)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663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5D%20%EC%B2%B4%EC%98%A8%EC%A1%B0%EC%A0%88%EC%9D%98%20%EA%B8%B0%EC%A0%84-6637_02_.jpg)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663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5D%20%EC%B2%B4%EC%98%A8%EC%A1%B0%EC%A0%88%EC%9D%98%20%EA%B8%B0%EC%A0%84-6637_03_.jpg)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6637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5D%20%EC%B2%B4%EC%98%A8%EC%A1%B0%EC%A0%88%EC%9D%98%20%EA%B8%B0%EC%A0%84-6637_04_.jpg)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6637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5D%20%EC%B2%B4%EC%98%A8%EC%A1%B0%EC%A0%88%EC%9D%98%20%EA%B8%B0%EC%A0%84-6637_05_.jpg)
직장온도(rectal temperature)
심부온도는 직장, 구강, 겨드랑이, 식도 및 외이도(고막) 등에서 측정(measurement)
인체는 대부분의 열생산이 일어나는 심부와 극히 소량의 열만이 생산되는 외조직으로 대별된다.
해부생리,체온조절의 기전
월경후 체온이 낮게 유지되다가 배란과 함꼐 즉시 0.5˚C 정도 상승하여 다음 월경시까지 계속 높게 유지된다
외각조직의 온도는 환경온도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말초순환량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신생아나 미숙아는 체온조절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온도의 影響을 쉽게 받는다.
고막온도(tympanic temperature)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
일반적으로 체온change(변화)를 말할 때는 심부온도의 change(변화)를 의미한다.
다.
Download : [해부생리] 체온조절의 기전.ppt( 35 )
시상하부의 온도와 유사함
심부온도(core temperature)
직장온도에 비해 0.3~0.5˚C 낮고 또 environment의 影響을 크게 받는다
순서
설명
식도온도(esophageal temperature)
구강온도(oral temperature)
A의 그림처럼 심부는 항상 약 37˚C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외각조직은 부위에 따라 그리고 환경온도에 따라 온도가 달라진다. 외각조직의 온도는 환경온도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말초순환량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